국민 10명 중 2명 백신 미접종자
부작용 입증 어려움에 접종 기피
미접종자 코로나 사망 확률 9.4배
백신 안전성 알리고 접종 유도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천292명 발생하며 역대 최다치를 기록한 18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피검자들이 줄을 서 있다. /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292명 발생하며 역대 최다치를 기록한 18일 오전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피검자들이 줄을 서 있다. /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70%를 훌쩍 넘어서자 정부는 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코로나)'로 방역 조처를 완화했다. 하지만 백신 부작용에 관한 불신과 이상 반응 시 인과성 입증의 어려움 등으로 접종을 거부하는 국민도 상당하다. 미접종자 관리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나오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최근 백신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와 돌파감염도 늘어나는 상황에서 백신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소수 미접종자의 불안감을 없애는 노력을 병행해 접종률을 높여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접종자, 이상반응 불안에 백신 기피 


2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백신을 권고 횟수대로 모두 맞아 접종 완료자가 된 국민은 4045만2376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접종 완료율은 78.8%다.

반면 백신을 한차례도 맞지 않은 국민은 923만명(18.0%)으로 조사됐다. 17세 이하 소아 청소년 접종이 진행 중이지만,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이들도 여전하다.

백신 접종을 꺼리는 이유는 다양하다. 한국리서치가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이유로 응답자의 75%가 ‘접종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를 꼽았다. 그 뒤로는 백신 효과 불신(66%), 방역수칙 준수만으로 예방이 가능하다는 이유(45%) 등이었다.

팩트경제신문이 취재한 60대 이상 노년층에서는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위중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공포감에 2차 접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 동작구에 살고 있는 60대 남성 김모 씨는 코로나 백신 1차 접종 2주 후 심한 두통과 구토 증세에 2차 접종을 포기했다. 당시 담당 의사가 김씨에게 “백신 접종이 원인일 수 있다”고 말해서다. 그는 의사 소견서를 보건당국에 제출했지만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인과성을 인정 받지 못했다.

1차 접종을 마친 또다른 70대 주부 한모 씨도 자녀들의 만류에 2차 접종을 하지 않았다. 그는 “1차 접종 후 사흘 내내 고열, 구토 증상, 어지럼증으로 고생을 했다”며 “아이들이 불안해 해서 2차 접종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부작용 비율이 적더라도 자신이 당사자가 될 수 있어 불안하다는 사례도 있다. 서울 노원구에 살고 있는 20대 여성 호모 씨는 “백신 부작용 확률이 적다고 하지만 부작용이 생긴다면 나에게는 100% 확률의 일”이라며 “백신 부작용에 대한 보상을 받기 힘든 상황에서 목숨을 담보로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첫 주말인 7일 밤 서울 마포구 홍대 부근에서 시민들이 거리공연을 보고 있다. / 연합뉴스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첫 주말인 7일 밤 서울 마포구 홍대 부근에서 시민들이 거리공연을 보고 있다. / 연합뉴스

코로나 감염 확률 높은 미접종자 설득 필요


최근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민의 백신 접종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백신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었다. 백신 안전성이 높다고 느낄수록 접종 의향이 높다고 나온 것이다.

정부는 백신패스를 통해 미접종자의 백신 접종을 유도하고 있지만, 접종자의 인센티브만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백신 접종 우려와 불확실성을 없애고 적절한 보상과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을 동반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접종 미완료자들은 여전히 코로나19에 감염 확률이 훨씬 더 높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4398만여 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효과를 분석을 한 결과 백신 미접종자는 접종 완료자보다 사망할 확률이 9.4배, 중증 위험도 22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치명률도 접종 미완료자는 0.78%인 반면, 접종 후 사망 신고율은 0.001%다.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 완료율을 높여 확진자수와 위중증 환자 수를 줄여 나가면 코로나 전파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엄중식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 접종은 유의미한 차이가 분명히 있다"며 "백신 접종 완료자 대비 돌파감염률과 미접종자 대비 감염률을 비교해보면 1:4라는 수치가 나온다. 만약 접종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현재 감염자 수치는 1만 명대를 기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첫 주말인 7일 오후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 경기 가평군 자라섬에서 시민들이 자리에 앉아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 연합뉴스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첫 주말인 7일 오후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 경기 가평군 자라섬에서 시민들이 자리에 앉아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백신 접종률을 높여 가야 하지만 미접종자가 백신을 거부하는 원인을 조사하고 정부가 그에 맞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는 피해자들이 보상을 바란다고 생각하는데, 국민들은 절차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소상한 설명을 원하는 것”이라며 “백신 미접종자들이 접종을 기피하는 이유를 조사하고 대응하는 과정 없이 접종을 강요한다면 전체주의 의료”라고 지적했다.

김신우 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가 미접종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식은 미접종자를 차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접종률을 높여 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명순 서울대 교수는 “백신 인센티브 등을 통해 백신을 맞게 유도하는 것보다 백신 자체 안전성을 입증하고 국민들에게 홍보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엄 교수는 “백신 부작용에 대한 인과성은 과학적으로 입증해야 하지만 백신 부작용 보상은 사회적 협의에 따라 빠르고 폭넓게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